열 교환기
| 열 교환기 | 
- 기본 게임
 - 우주 시대
 
| 
 제작법  | 
|||||||||||||
| +++ → | |||||||||||||
| 
 총 소요  | 
|||||||||||||
| +++ | |||||||||||||
| 
 지도 상 색  | 
|||||||||||||
| 
 유체 저장 용량  | 
 Input: 200  | 
||||||||||||
| 
 체력  | 
  | 
||||||||||||
| 
 저항  | 
 폭발: 0/30%  | 
||||||||||||
| 
 묶음 크기  | 
 50  | 
||||||||||||
| 
 25 (0.5 stacks)  | 
|||||||||||||
| 
 면적  | 
 2×3  | 
||||||||||||
| 
 에너지 소비량  | 
  | 
||||||||||||
| 
 Heat output  | 
  | 
||||||||||||
| 
 Maximum temperature  | 
 1000 °C  | 
||||||||||||
| 
 Fluid consumption  | 
  | 
||||||||||||
| 
 채취 시간  | 
 0.1  | 
||||||||||||
| 
 프로토타입 유형  | 
|||||||||||||
| 
 내부 이름  | 
 heat-exchanger  | 
||||||||||||
| 
 요구 기술  | 
|||||||||||||
| 
 제작 가능 시설  | 
|||||||||||||
열 교환기는 증기를 만들기 위해 열 공급 연결과 물 사이에서 열을 교환한다.
열 교환기는 500°C 증기를 1초에 약 103 유닛 만든다.
열 교환기는 500°C에 도달하면 더이상 증기를 만들지 않는다. 열 교환기가 더 뜨겁더라도 생산된 증기는 정확히 500°C이다. 열 교환기는 1 MJ/°C의 열용량을 가지고 있다. 따라서 가동 범위인 500°C에서 1000°C사이에 500 MJ의 열 에너지를 가지고 있을수 있다. 또한, 처음 가동되었을 때 15°C에서 500°C로 가열하기 위해 485MJ의 에너지가 필요하다.
증기 생산율 계산
열 교환기는 초당 103유닛의 증기를 생산한다. 이는 증기 터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. 증기터빈은 초당 60유닛의 증기를 소모하고 5.82MW의 전력을 생산한다. (500°C의 증기를 가정한다.) 이는 500°C 증기 1 유닛이 5.82MW / (60/s) = 0.097 MJ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. 열 교환기는 1초에 10MJ을 생산한다. 그러므로 열 교환기는 10MJ / 0.097MJ = 103.0927835 증기를 매 초 생산한다.
증기 생산율은 에너지 소모를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. 열 교환기 1개는 10MW를 소모한다. 즉, 매 초 10,000,000줄의 열 에너지를 물/증기에 투입한다. 1 유닛의 물을 1도 올리기 위해 200줄의 에너지가 필요하다. 따라서 1유닛의 물을 50,000°C 가열할 수 있다. 하지만 물은 15°C에서 500°C만, 즉 485°C만 가열된다. 따라서 50,000 / 485 = 103.09이므로. 50,000°C를 가열 할 수 있는 에너지는 103유닛의 증기를 485°C 가열하는데 충분하다. 물에서 증기로 변하는 비율이 1:1 이므로 103유닛의 물을 매 초 소모하는것과 같다.
역사
- 0.17.67: 
- 열 파이프(그리고 원자로와 열 교환기)가 고온에서 빛을 발산한다.
 
 
- 0.15.0: 
- 첫 도입
 - 물의 열용량이 리터당 0.1kJ/°C에서 리터당 0.2kJ/°C 으로 증가.
 
 
